구직자의 구직 이유는 다양합니다. 기업은 인재를 잘 채용 하고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인재 채용 및 유지는 오늘날 HR팀을 괴롭히는 가장 큰 고민 중 하나입니다.
최근의 채용 동향에 따르면 구직자는 직업 안정성과 기업 윤리뿐만 아니라 직업에 대한 만족도와 전망에 대해 이직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우리 모두가 매우 익숙해진 용어인 엄청난 인재 부족(Great Talent Shortage)을 신호로 삼아야 합니다.
아이하이어(iHire)는 최근 미국 구직자 4,207명(3,668명)과 고용주(539명)를 대상으로 인재 부족 상황에서 고용주가 최고의 인재를 어떻게 채용 및 유지하고 있는지, 구직자들이 무엇을 주목하는지 조사했습니다.
설문조사는 미국에서 실시되었지만, HRO(Human Resources Online)은 그 내용이 아시아에 있는 우리의 독자들에게 여전히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은 설문 조사 결과에서 도출된 10가지 동향입니다. 다가오는 내년에 고용주와 HR 리더는 이에 대해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1. 고용주들은 지속적인 인재 부족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4년 연속, 고용주들은 가장 어려울 채용 과제로 직무에 적합한 구직자 찾기를 꼽았습니다. 2022년에는 10명 중 7명이 구직자가 너무 적다고 답했으며 이와 비슷한 비율로 지원한 구직자가 적합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10명 중 8명은 내년에도 인재 부족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고용주가 원하는 구직자의 기술과 구직자가 실제로 보유하고 있는 기술 사이에는 격차가 존재합니다.
기업은 적합한 인재를 쉽게 찾을 수 없다고 말하지만 구직자의 38.5%는 고용주가 비현실적이거나 지나치게 구체적인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한 구직자 그룹은 기업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구직에 지원했다고 말했습니다.
3. 대퇴직(the Great Resignation)은 느려지지 않습니다.
설문에 참여한 구직자의 절반 이상(57.3%)이 취업을 했거나 적극적, 또는 소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어 대퇴직(the Great Resignation)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편, 고용주는 앞으로 몇 달 동안 직원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읽어보기: Mastercard가 아시아의 인재 부족에 대처하는 4가지 방법(4 ways Mastercard is coping with Asia’s great talent shortage)
4. 경제적 불확실성이 채용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경기 침체가 임박하고 인플레이션이 상승함에 따라 구직자와 고용주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내년에 구직 및 고용 능력에 각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염두에 두고 구직자 10명 중 7명은 구인광고에서 급여의 범위가 포함되면 구직에 지원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습니다.
5. 채용사이트는 채용의 핵심 도구로 남을 것입니다.
고용주 10명 중 약 6명은 지난 1년 동안 채용사이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다고 말했으며 상당수가 구직자 10명 중 6명이 채용사이트를 통해 구직 활동을 펼쳤습니다. 지난해에는 66.3%가 당장 일자리를 구해야 한다면 채용사이트에서 먼저 찾아보겠다고 답했습니다.
6. 구직자와 고용주 모두 “잠적하기(Ghosting)”를 두려워합니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고용주의 절반이 응답하지 않는 구직자 때문에 좌절감을 느꼈다고 합니다. 동시에 구직자 10명 중 4명 이상이 잠적하는 고용주를 겪어 보는 것이 주요 구직 과제라고 말했습니다. 이와 같은 사례는 양 당사자 간의 보다 명확한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시키고 있습니다.
7. 구직자는 원격 근무를 원하지만 찾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구직자들은 원격 근무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구직자의 원격 근무 선호가 내년에도 계속해서 구직률 상승을 저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읽어보기: 말레이시아에서 채우기 어려운 역할을 채우기 위한 고용주 가이드(The hirer’s guide to filling hard-to-fill roles in Malaysia)
8. 최고의 인재를 잡기 위해서는 시간이 가장 중요합니다.
많은 구직자들은 고용주가 지원 과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면 구직에 지원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고 말했습니다.
거의 20%에 가까운 사람들이 “긴 지원 절차”를 구직에 있어서 가장 큰 구직 과제로 언급했으며 26%는 선택적 자기소개서를 원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채용을 하기 위해 고용자는 구직자의 시간을 소중히 여긴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9. 구직자의 구직 이유는 매우 다양합니다.
자신의 현재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불만이 새로운 직업을 찾는 주된 이유였지만, 응답자 5명 중 1명은 ‘기타’를 선택했습니다.
‘기타’를 선택한 응답자의 선택 이유는 재취업이나 시간제 일자리 찾기, 자녀나 노인 가족 돌봄 후 직장 복귀, 퇴직 후 복귀, 폐업하는 기업 퇴사, 유연성이 더 필요하다는 등이었습니다.
고용주는 이러한 인재를 잘 유치하고 이러한 요구를 가장 적합한 곳에서 충족할 수 있도록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10. 은퇴자의 재취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구직자의 약 7.5%가 은퇴 후 일자리를 찾고 있다고 답했으며 전년 대비 2.9%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는 노후자금 감소와 생활비 증가로 인해서 은퇴하지 않는 은퇴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구직자 중 22.5%는 자신이 직무 대비 과도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Source: https://www.humanresourcesonline.net/10-recruitment-trends-to-keep-an-eye-on-in-2023
본 포스팅은 먼치스킬 팀이 humanresourcesonline.net 기사를 번역 및 일부 재해석한 것입니다.